본문 바로가기
금융 정보

한국 IMD 국가경쟁력 순위 급등 28위 → 20위 역대 최고 (IMD 국가경쟁력 의미 및 기준)

by 윤&조 2024. 6. 19.
반응형

 

 

 

IMD 국가경쟁력이란? 

 

IMD 국가경쟁력(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World Competitiveness)은 스위스의 IMD(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라는 경영 개발 대학이 발표하는 세계 경쟁력 순위입니다. 이는 전 세계 국가들의 경제 활동과 정책, 인프라, 교육 수준, 그리고 기업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순위를 매기는 것입니다.

IMD 국가경쟁력 평가의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경제 성과: 국내총생산(GDP), 고용률, 외환보유액 등 국가 경제의 전반적인 성과를 평가합니다.
  2. 정부 효율성: 정부의 정책, 법률 체계, 공공 재정, 그리고 사회적인 환경을 측정합니다.
  3. 비즈니스 효율성: 생산성, 노동 시장, 금융 시장, 경영 관행, 그리고 기업 혁신 등을 포함하여 비즈니스 환경의 효율성을 평가합니다.
  4. 인프라: 물리적 인프라(도로, 전기, 통신망), 과학 인프라, 보건 및 환경, 그리고 교육 인프라를 평가합니다.

이 순위는 각국의 정책 입안자와 기업 경영자들이 국가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됩니다.

 

 

출처 : 기획재정부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

 

한국은 지난 '22년에 27위를 기록하였다가, '23년에는 28위로 한 계단 순위가 내려갔습니다. 다만, '24년에는 20위로 순위가 껑충 뛰어오르며,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출처 : 기획재정부

 

 

 

분야별 평가결과

 

4대 분야를 살펴보면, 경제 성과와 정부 효율성은 순위가 하락하였으나, 기업 효율성과 인프라가 각각 10계단, 5계단 뛰어 오르며, 한국의 순위를 끌어 올렸습니다. 특히나 기업 효율성에서 많은 개선이 이뤄지며 금번 역대 최고 순위 기록을 뒷받침 하였습니다. 

출처 : 기획재정부

 

 

 

국가별 순위

** 굵은색 하이라이트는 인구 2천만명 이상 국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것은 싱가포르입니다. 싱가포르는 '23년에 4위를 기록하였으나 '24년에는 1위를 차지하며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22~'23년 연속으로 1위를 차지했던 덴마크는 '24년 3위를 기록하며, 2계단 순위가 하락하였습니다. 
인구가 2천만명 이상이 되는 국가 중에서는 대만이 가장 높은 순위인 8위를 차지했고, 전세계 최강국인 미국은 12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우리의 옆나라 일본은 세계적인 경제 대국임에도 불구하고, 38위를 기록하였습니다. 

 

출처 : 기획재정부

 

 

반응형

댓글